[앵커멘트] 서울 영등포 지역 집창촌의 성매매 여성들이 연일 생존권을 보장해달라는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경찰이
집중 단속을 하면서 집창촌이 개점휴업 상태가 됐기 때문인데요.
정부가 유도하는 자활 대책은 거부하고 성매매 활동을 보장해 달라는
이유가 무엇인지, 김평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형 백화점 앞에서 흰옷을 입은 성매매 여성들이 연일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백화점 측의 요청에 따라 경찰이 백화점 옆 집창촌에 대한 집중 단속을 벌여 손님이 뚝 끊겼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인터뷰:한 모 씨, 성매매 여성] "경찰차 계속 돌고 전경까지 돌고 저희는 솔직히 지금 당장 벌지 못하면 살
수가 없어요. 왜냐하면 단돈 만 원도 벌지 못하면 벌 가족이 없어요."
정부는 성매매 여성들을 위한 자활 대책을 내놓고 이들이
집창촌을 벗어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반응은 시큰둥합니다.
한 달에 40~50만 원에 불과한 지원금으로는 여섯 달에서 일 년이
걸리는 자활 교육 동안 생계를 꾸릴 수 없고, 직업 교육도 미용사나 소규모 음식점 등으로 한정돼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여성가족부는 성매매 여성들의 자활 지원 금액은 다른 자활 지원 금액과 비교해 볼 때 결코 부족한 수준이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인터뷰:이수림, 여성가족부 권익지원과] "3년 동안 월 41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여성
가장이 직업훈련 시 받는 11만 6천 원의 지원금과 비교해 볼 때 적은 수준이 아닙니다."
이런 가운데 실제로 자활 지원 시설을
이용하는 성매매 여성은 매우 적어 대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지난 2007년 이후 경찰에 붙잡힌 성매매 여성은
연평균 7,000명 안팎이었지만, 자활 지원 시설을 이용한 인원은 2007년에 280여 명, 2010년에도 500여 명에
불과했습니다.
때문에 안정적인 일자리를 마련해 주는 지원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인터뷰:김인숙, 가톨릭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사회적 일자리를 국가가 일정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마련해서 3~5년에 걸친 안정적인 일자리를 마련해 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집창촌 단속을 비웃듯 성매매는 오피스텔과 주택가 등으로 은밀히 침투해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성매매
여성들의 자활 의지와 더불어 실효성 있는 자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YTN
김평정[pyung@ytn.co.kr]입니다. 출처: 한겨레 2011-05-18 22:32
|